신유장군 유적지-두만지-배시기 갈림길-비룡산-태봉바위-용바위-선석산
마당바위 전망대-시묘산-신유장군 유적지(원점10.27km 5시간)
홀로 대중교통
선석산(禪石山)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과 칠곡군 약목면 북삼읍에 경계산으로
서진산(棲鎭山) 또는 누진산(樓鎭山)이라고도 불린다.
성주 월황방향으로 천년고찰 선석사와 세종대왕 자 태실답사와 겸해
영암산과 종주를 많이 한다.
비룡산(飛龍山)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와 기산면 각산리 경계에 걸처있다.
약목면에서 바라보며는 삼각형 뽀족한 삿갓모양 산으로
정상에는 산불 감시초소가있고 일명 필봉이라고도 하는데
가까이는 시묘산, 선석산과 연계산행을 많이한다.
대구역 08시20분-약목역 08시44분도착 (요금 2.600원)
약목역에 내려 산행들머리인 신유장군 유적지 까지
택시(3.000원) 를 타고 가도되지만
워밍업도 할겸 걸어가기로 합니다
우선 약목 전통 시장앞까지 걸어갑니다 (도보10분)
약목전통시장옆 남계교 다리위의 신유장군 유적지 까지 1.6km 이정표 (도보 약20분)
저멀리 맨처음 올라야할 비룡산이 올려다 보입니다
약목전통 시장입구에서 약20분만에 들머리인
신유장군 유적지 앞에 도착합니다
신유장군 유적지 앞에 신유노래비
무슨연관이 있는지..ㅠㅠ
신유장군 유적비앞에 올라가 보지만 안으로 문이
잠겨있어 들어가 보질 못합니다
신유장군 유적지 안내판
산행들머리 두만저수지 앞 비룡산 까지 2.2km 이정표
두만저수지 둑을 따라서
저수지 둑 끝에서 오른편으로
포장길 따라 가다가
갈림길에서 직진
이곳 삼거리 갈림길에서 오른편으로
포장길 따라서 계속
돌담옆 왼쪽방향으로
시멘트 포장길 따라서
맨 마지막 끝집에서 오른쪽으로
임도길 따라 들어가다가
삼거리 에서 오른쪽 임도길 따라
작은 다리를 건너 사방댐 못미쳐 옆으로 난 산길을 따라 들어간다
여름철엔 가시가 조금 성갈시도 있겠다
쭉쭉 뻗은 숲길로
비룡산 1.2km
바윗길 올라 가면
시원한 약수터를 만나고
완만한 오르막길
연이은 침목계단을 만납니다
배시기 갈림길을 지나서 부터 비룡산 정상 까지 380m 가파른 오르막길 입니다
바위길도 만나고
가파른 숲길을 올라서가면
산불초소가 있는 비룡산 정상에 올라섭니다
두개의 비룡산 (579.4m) 정상석과 저멀리 금오산
비룡산 정상에 세워진 이정표에서 선석산 2.5km 방향으로
가야할 선석산이 저멀리 올려다 보이고
부드러운 능선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남계리 (구화사) 갈림길을 지나
나무의자 쉼터도 만나고
이어지는 소나무 숲길
한차례 올라서면 541m봉을 지나
영암지맥길 삼거리 갈림길을 만나 선석산 (1.4km) 방향으로
완만한 오르막길
바위도 만나고
능선에 올라서면
불광교 삼거리 갈림길에서 오른편 선석산 방향으로
태봉바위도 만나고
나무의자 쉼터 귀엽지 않나요
용바위도 지나서
선석산 0.1km 이정표
힘들게 올라서면 사방팔방 조망이 좋은 선석산 정상 도착
선석산 정상모습
선석산 (742.3m) 정상석
선석산 정상 나무의자에서 잠시점심식사후 휴식
선석산 정상 에 세워진 이정표에서 시묘산 (3.7km ) 방향으로
오른편 시묘산 방향으로
급경사 내리막길
이후 능선길 오르락 내리락
바위지대 올라서면
넓은 마당바위 도착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조망
능선길
시묘산 정상 까지 이렇다 할 것 없고
사각평상이 놓여있는 안부
직진
345.2m 봉 오르막길에도 산악 오토바이의 흔적들이 보인다
안부에 내려선후 다시 오르막
갈림길에서 직진
침목계단 가파른 오르막길
운동시설과 정자를 만나고
다시 능선길 가다가 한차례 올라간다
너덜길 통과 무명봉에 올라서고
또 하나의 무명봉을 지나서
삼각점이 있는 시묘산 (366.9m) 정상
흔한 정상판때기 하나없고 선답자들의 표시기만 몇개..
소나무 숲길을 따라 하산길은 직진
갈림길 이정표에서 오른편 신유장군 유적비1km 방향으로
이어지는 소나무 숲길
갈림길 안부에서
신유장군 유적지 (870m) 방향으로
돌탑을 지나고
안부 갈림길
신유장군 유적지 방향으로
아직도 가을의 흔적이 남아 있는것 같습니다
관리사무소 뒤편 놀이터로 내려온후
관리사무소 앞에서 산행을 마무리
약목시장까지 도보로 걸어간후 시내버스를 타고 왜관역에서
기차를 타고 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