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역~죽령옛길~죽령마루~용부원리~당동리 (11.4km )
[소백산자락길]은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문화생태탐방로로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고
,2011년 한국관광의 별로 등극되었다. 영남의 진산이라 불리는 소백산자락을
한 바퀴 감아 도는 소백산자락길은 전체 길이가 143km(360리)에 이른다.
모두 열 두 자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락은 평균 거리가 12km(30리) 내외여서
약3~4시간이 소요되므로 하루에 한 자락씩 쉬엄쉬엄 걸을 수 있어 리듬이 느껴진다.
더구나 열 두 자락 모두 미세한 문화적인 경계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자세히 살펴보면
자락마다의 특징이 발견되어 색다른 느낌의 체험장이 될 수 있다.
2009년 1,2,3자락이, 2010년 4,5,6,7자락이,그리고 2011년,2012년 8,9,10,11,12자락이
완성되어 전국의 자락꾼들을 불러 모우고 있다.소백산자락길은 경북 영주시,봉화군
,충북 단양군,강원도 영월군의 3도 4개시*군에 걸쳐져 있다. 올망졸망한 마을 앞을
지나기도 하고, 빨갛게 달린 과수원 안길로 안내되는 가하면,잘 보존된 국립공원
구간을 통화하기도 하여 아기자기하므로 대부분 따가운 햇볕에 노출되는
다른 곳의 걷는 길과는 차별된다. 특히,국립공원 구역이 많아 원시상태가 잘 보존되어
숲의 터널에서 삶의 허기를 치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돌돌 구르는 시냇물과
동행 할 수 있어 신선하다. 국망봉,비로봉,연화봉,도솔봉 등의 봉우리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소백산자락은 명산에 걸맞게 대찰을 품고 있는 불교문화 유적의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에 속해 있어 부석사를 위시한 성혈사, 초암사, 비로사, 희방사, 구인사 등등의
불교유적지 탐방의 재미도 쏠쏠하다. 3도 접경 행정구역을 달리한 생활문화의
특징까지 감상할 수 있음은 보너스이다.
죽령옛길 트레킹 시작점은 소백산 자락길 3구간 시작점인
소백산 역 앞에서 시작 된다
소백산역에서-죽령고개마루 까지 2.8km
죽령옛길 이정표 따라서
소백산 역 광장
죽령 옛길 이정표 따라서
소백산 자락길 3구간 시작점
포장길 따라
첫번째 삼거리 갈림길 에서 왼편으로
중앙고속도로 교각 밑으로 통과
백룡사 갈림길 지나고
죽령옛길 방향으로
포장길로 계속 이어진다
사과나무 과수원 앞을 통과
본격적인 산길로 접어든다
나무 의지 쉼터
포장길을 0.9km 정도 걷고난후 부터는
시원한 숲길을 만난다
나무 계단길도 오르고
돌계단길 올라서면
죽령루에 올라선다
죽령고개마루의 죽령주막
이곳에서 죽령옛길 2.8km 구간은 끝이나고
죽령주막에서 간단하게 점심을 해결한후에
소백산 자락길 3구간을 이어간다
죽령주막에서 산채비빔밥과 시원한 맥주한잔,,
백두대간 죽령 표지석
죽령고개 명품마을 방향으로
자락길은 이어지고
나무 계단길 내려서면
마을 아래로 내려선다음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내려간다
산신당 앞을 지나서
마을 앞을 지나서
자락길 이정표 따라
용부원리 옛도로 따라 한참 걸어가면
오른쪽으로 보국사지 터를 만나고
머리와 상체일부가 훼손된 석조여래입상을 만나고
과수원 앞을 지나서
자락길을 따라 걸어가면
죽령명품마을 앞을 지나고
용부사 삼거리 갈림길에서
오른편 자락길 방향으로
당동리 소백산 자락길 4구간 방향으로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죽령고개마을 입구인 용부원2리 샛골 고개언덕에 올라선다
소백산자락길 3구간은 이곳에서 계속 차도를 따라 이어진다
무더운 날씨 차량이 달리는 도로를 따라 걷기엔 별 의미가 없어
한참 도로를 따라 내려오다가
령통사 입구에서 마무리
소백산 령통사 입구
산이 조치요 카페에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밑에 그림을 클릭 하시면 바로이동 합니다.
'경상남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영천 사룡산(685m)-구룡산(675m) 15년 06월 13일 산행 (0) | 2015.06.13 |
---|---|
경남 의령 국사봉(687.8m)-천황산(656m)-미타산(662m) 15년 06월 12일 산행 (1) | 2015.06.12 |
경북 영주 돗밤실 둘레길-무섬마을 15년 05월 25일 산행 (0) | 2015.05.25 |
경남 합천 황매산 (1.108m) 15년 05월 07일 산행 (0) | 2015.05.07 |
경남 통영 연대도 (연대봉220.3m)-만지도 트레킹 15년 05월 01일 (0) | 201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