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북도

포항 구룡포 목장성 옛길 &구룡포 근대역사거리15년 01월 10일

by 산이조치요 2015. 1. 10.

 

 

구룡포 초교.ㅡ읍산 전망대.ㅡ체육시설.ㅡ산불초소.ㅡ미암산.ㅡ목장성 옛길.ㅡ

ㅡ까치 전망대ㅡ봉화대-응암산(박바위)-구룡포초교  (천천히 3시30분)

대구 드림 산악회

 

 

 

 

목장성은 한반도 안의 또다른 반도인 장기반도에 있다.

구룡포 돌문에서 동해면 흥환리까지 약 7.6km의 축조돼 현재 약 5.6km가 남아 있다

. 장기목장성은 국가에서 말을 키우기 위해 쌓은 돌 울타리로 동배곶 목장이라고도

 불리웠다. 긴 돌성으로 구불구불하게 길게 뻗어있는 이 곳에서 말을 키웠다.

 정확한 축조시기는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종실록에 목장 감독관을 수령이 겸임한

 기록이 있어 이미 세종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삼국유사에는 장기반도

 안에 있는 호미곶면 강사3리 명월암이 신라 선덕여왕 5년(636년)에 지역 수장의 군마사육을

 기원하는 사찰로 창건됐다고 기록돼 있다.

 

[구룡포근대역사거리]

100여년 전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일본인들이 이주해 형성했던 거주지로 일본 가옥이

 남아 있는 곳이다. 이곳은 일본풍이 그대로 묻어나는 거리로 한 때 유명한 드라마였던

여명의 눈동자촬영장소로 각광을 받으며 소개되었으며 그 후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자리 잡았다. 구룡포 근대문화역사거리는 약 470여 미터에 이르는 골목에는 80여 채의

 당시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현재 28채 가옥의 외벽을 보수하고 거리의 도로도 디딤돌로

 포장하여 일본식 거리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가옥 중에는 창살에 일본 후지산의 모양을

 표현하여 일본식 가옥의 유풍을 잘 간직하고 있는 것도 있어 가옥의 전체 외형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가 있지만 각각의 가옥을 구성하는 세부적인 모습들, 특히 창살의 문양 등을

 세밀하게 관찰하면 이제껏 보지 못했던 새로운 일본가옥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산이 조치요 카페에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밑에 그림을 클릭 하시면 바로이동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