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금역~물문화관~용화사~원동역~가야진사~작원잔도~작원관~
삼랑진역 (약 21.3km 6시간)
황산잔도는 낙동강의 옛 이름인 황산강에서 따왔고, 작원잔도의 이름은
밀양 삼랑진에 있던 원이던 작원에서 비롯됐다. 이 가운데 경부선 작원관터널 바깥의
낙동강 벼랑에서 지난해 2월 길이 100m 정도의 작원잔도 잔존 구간이 발견됐다.
자연지형을 이용해 석대를 세우고 석축을 쌓은 형태로 바위 면에는
사다리를 걸기 위해 만든 홈도 발견됐다. 자전거 길이 완공된 지금은
일부인 20~30m의 작원잔도를 볼 수 있다.
대구역 에서 07시 37분 출발하는 부산행 무궁화 열차를 타고 (5.500원)
08시51분 물금역에서 내린다
역 광장을 빠져 나가 10m 정도직진하면
사거리 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꺽는다
2차선 도로를 따라가다가 서부 아파트 삼거리 에서 왼쪽 방향 으로
앞에보이는 봉우리는 작년엔가 답사한적이 있는 매봉산이다
매봉산에서 무월산.만어산으로 8시간을 산행한적이 있는산이다
지하도 입구 에서 오른쪽으로
서부마을 표지석 앞에서 저 멀리 쳐다보면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 이정표가 있다
지하차도를 통과하면
낙동강 종주 이정표 따라 도로따라 진행한다
용화사 방향으로 계속
만나는 갈림길에서 물금 취수장 방향으로 직진
물금취수장 정문 오른쪽 도로따라
담장을 따라 쭈욱~
자전거 종주길은 포장도로 따라 직진방향이지만
용화사 석조여래좌상(보물)을 구경하고자 왼쪽 용화사 방향으로
용화사를 구경하고 다시 되돌아 나와야 한다
경부선 철도 아래로
지하통로를 빠져나가면
용화사 대웅전 앞마당에 올라선다
용화사 대웅전에모신 석조여래좌상 (보물제491호)
용화사 석조여래좌상 안내문
용화사를 구경하고 되돌아 나오면
황산잔도 시작을 알리는 안내판을 만나고
물 문화 전시관을 잠시 둘러보고
강물위로 지나가는 교량위를 걷는다
곧바로 동래부사 정현덕 공덕비 안내판을 만나고
동래부사 정현덕 공덕비
오늘걸어야할 낙동강 자전거길은 물금에서 시작해 트레킹이 끝나는 삼랑진 까지
왼편으로는 낙동강을 보고.오른편으로는 경부선 철로를 바라보면서 걷는다
길게이어지는 교량길
5분여 진행하다보면
조선시대 선비들이 모여 앉아 시를 읊던 경파대 바위를 만나고
경파대
길고긴 강물위에 지어진 교량다리를 지나오면
다시 자전거길 포장 도로가 이어지고
자전거길 종주 양산물문화관 인증센터를 지난다
계속이어지는 자전거 종주길 따라
원동취수장 앞을 지나서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
가야진사 7.8km 방향으로
작은 다리를 지나면
1739년에 세운 양산화 제석교비를 만나고
사방이 탁트이는 자전거 종주 도로
전면에 보이는 양산 용골산과 토곡산 능선
웬 까마귀 떼들이 그리 많은지..
가야진사 6.4km 방향으로
서룡문화 생태공원
자전거 종주길은 약 1시간 가량 지루하게 느껴질만큼
포장도로를 걸어야 한다 ㅠㅠ
지루한 자전거도로길
아직도 자전거 종주길 일부구간은 낙동강 둑 공사가 진행중이다
낙동강 둑 공사현장
쉼터도 지나고
원동역 갈림길
서룡문화 생태공원 주차장에서 이곳까지 약 1시간 가량
지루한 포장도로길을 걸어왔다
오늘 트레킹중에 이구간만 아니라면 다시한번 더 찾고싶은 마음 인데..
원동역 갈림길 이정표
물금역을 출발해 자전거길 종점인 삼랑진 까지
먹을곳 (식당)이라고는 한군데도 없다
원동역 갈림길을 지나 .두번째만나는 강물위 교량을 잠시지나면
자전거 종주길이 이어지고
원동생태 공원 앞 삼거리를 만난다
이곳에서 자전거 길을 버리고.왼쪽 원동지구 방향으로 진행한다
원동 문화생태공원 주차장
주차장 끝에서 가야진사 0.2km 방향으로
가야진사
가여진사는 대.중.소사 중 중사에 속하는사독( 四瀆)의 하나로 친다. "독"은 나라에서
신성시 하여 봄이나 가을 또는 가뭄이 들었을 때 제사를 지내던 큰 나루터나 강을 말하며
, 남쪽에서는 공주와 연기의 웅진나루,서울의 한강, 양산의 가야진 등이 있다.
민속놀이 "가야진용신제"는 원동면 용당리에 있는 "가야진사제례"를 바탕으로 형상화 한 것이다.
이 가야진사는 낙동강 나루터신을 모시고 있는 제당으로, 신라가 가야를 정벌할 때
왕래하던 나루터에 자리하고 있다. 공주의 웅진과 함께 나라에서 향촉과 칙사를 보내어
제사를 올리고 장병들의 운을 빌던 곳이다. 앞면 1칸,옆면 1칸으로 구성되어 있고,
맞배 지붕을 하고 있다.목조 건축물이며 내부에 들어서면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제상이 있고
, 그 위에 가야진사 전설의 주인공인 머리가 셋 달린 용이 그려져 있다.
현재의 사당은 조선 태조 6년(1406)에 세운것으로 전하며 옛 건축물로서 민속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되고 있다. 현재까지 마을 사람들은 제를 지내며 가뭄이
극심할때 기우제를 올리기도 한다.
가야진사 안내판
가야진사옆 용신제 전수관
용신제는 나라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제례로 삼국시대부터 국가의식으로
여러 지방에서 행하여 졌으나 지금은 가야진에만 유일하게 남아
원동면 주민들에 의해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가야진용신제는 용당리 당곡마을 옛 나루터 앞의 용이 산다는 용소에 제물을 바치는 것을
주내용으로 칙사영접굿, 강신굿, 용소풀이굿, 사신굿 등 제향과 풍물로 구성돼 있다.
가야진용신제는 1997년 1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으며
가야진사는 이에 앞선 1983년 12월 경상남도민속자료 제7호로 지정됐다.
용신제 전수관앞 포장길 따라 잠시 걸어가면
만나는 갈림길에서 조금가다보면 원형사거리 갈림길에서
왼쪽방향으로 17분정도 진행하면.
자전거종주길과 다시 만난다
탁트인 넓은 둔치도로를 따라
이곳에서. 원동 문화 생태공원 앞 삼거리에서
오른쪽방향인 자전거길을 따라 오는길과 만난다
왼쪽 자전거 도로따라
삼랑진 4.2km 방향으로
자전거 종주길
중간중간 만나는 나무의자 쉼터
밀양시 1km 지점 이정표를 지나
오른쪽으로 시루봉이 보이기 시작한다
잠시교량위 다리를 지나고
양산과 밀양 경계를 지나면 길옆에 작원잔도 안내판을 만나고
작원잔도 안내판
작원잔도 흔적
교량위 다리를 지나서
다시 자전거길 포장길이 이어지고
선착장에 내려선다
선착장 삼거리 에서 복원된 작원관과 위령탑을 둘러보고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나와서
직진방향인 자전거 도로길을 따른다
굴다리를 지나서
왼쪽방향으로
도로따라 약 100m 정도 진행하면
복원된 작원관 입구
작원관 복원 기념비
작원관 위령탑
작원관을 둘러보고 다시 선착장으로
다시 자전거길 도로따라 약 10 여분 이면
처자교 안내판 앞에 도착하고
처자교 안내판
왼편으로 삼랑진 생태공원을 보면서
약7분후면 원형모양의 쉼터에 도착한다
원형모양의 쉼터
이곳에서 왼쪽 자전거 길을 벗어나서
오른쪽방향인 삼랑진 역으로 간다
경부선 철로 위쪽 으로 올라가면
약50m 정도 가다보면
우측 지하통로 안으로 들어가서 나오면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왼쪽 삼랑진 방향으로
큰 도로를 따라 약 20분걸어가면
삼랑진역사앞에 도착하면서
물금에서 원동을 거쳐 삼랑진으로 이어지는
자전거종주길을 마친다
삼랑진역
16시56분에출발하는 무궁화 열차를 타고 (4.400원)
대구역 17시55분도착
산이 조치요 카페에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밑에 그림을 클릭 하시면 바로이동 합니다.
'경상남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기장 공덕산(290m)-거문산(545m) 13년 12월 13일 산행 (0) | 2013.12.13 |
---|---|
경남 고성 적석산 (497m)-깃대봉 (520.8m) 13년12월10일 산행 (0) | 2013.12.10 |
경북 청도 화악산 (930.4m)-철마산 (634m) 13년 11월25일산행 (0) | 2013.11.25 |
부산 황령산 (427m)-금련산(415m) 13년 11월13일산행 (0) | 2013.11.13 |
부산 무지산 (운봉산454m)-개좌산(449m)-아홉산(353m)-회동수원지 13년 11월12일산행 (0) | 201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