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요리 버스종점~천장사~연암산~무너미고개,ㅡ삼준산~파란지붕,ㅡ
가곡저수지 (천천히 4시간)
산행출발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버스종점 입니다
장요리 버스 종점 에서 천장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마을을 지나서 천장사,ㅡ화계사 갈림길
산불감시 아저씨 한데 입산 통제를 받습니다,
11월1일부터 산불경방기간이라나 ,,
사정이야기를 하고 천장사 방향으로 진행
산불기간에는 사전에 입산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천장사 입구도착
장요리 버스종점 에서 시멘트 길을 따라 걸어서 약 20분소요
천장사,
천장사는 산기슭의 경사가 심하여 축대를 2단으로 높이 쌓아
사역을 조성하였는데, 경내에는 대웅전과 산신각
그리고 요사채가 있습니다.
사찰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백제 무왕 34년(633)에
담화선사가 수도하기 위해 창건했다고 하나 정확한 내용을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찰이란 명칭보다는 암자란 이름이 더욱 어울릴 듯한 소박한 절집입니다.
법당의 앞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202호로 지정된
고려시대 7층석탑이 1기 서 있고
, 법당의 내부엔 관음사의 후불탱화로 조성된 1788(정조 12)년 작의
불화 1점이 걸려 있습니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 7교구 본사인 수덕사 말사로 되어 있습니다.
천장사가 유명한 것은 이곳에 기거하며 득도하신
스님들이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조선말 고승 경허선사와 근세의 고승 송만공(1871-1946) 대사가
이곳에서 수도하였습니다.
경허선사는 천장사에 머물면서 홍성 김좌진 장군 집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날품팔이 일꾼을 자청하기도 하고
수덕사 마곡사 부석사 등지로 돌아다니며 깨달음을 얻은 큰스님입니다
. 경허선사의 맏상좌로 경허의 세 달이 있는데 수월, 혜월, 만공월면이
바로 이 분들입니다.
특히 만공스님은 근대의 고승으로 1883년 김제 금산사에서
불상을 처음 보고 크게 감동한 것이 계기가 되어
출가를 결심, 천장사에서 경허선사를 통해 득도하였습니다.
천장사 칠층석탑
천장사 인법당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기단은 밑돌이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지붕 모양의 맨 윗돌을 덮어두고 있는데,
그 폭이 탑신의 1층 몸돌과 거의 같다.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두었으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비율이 그리 크지 않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새겨두었다.
4층 지붕돌에서부터 7층 몸돌까지 놓인 돌들은 제자리가 아닌 듯
어색한 모습이며,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 또한
아래의 7층 지붕돌과 크기가 맞지 않아 원래의 형태는 아닌 듯하다.
탑신부의 몸돌이나 지붕돌의 모습에서
고려의 양식이 보이고 있으나,
기단의 폭이 탑신의 1층 몸돌과 거의 같은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후에 세운 것으로 추측된다.
천장사 경내를 둘러보고 다시사찰아래 계단까지내려와
좌측임도길의 등로를 따라오르면
천장사 부도 를 만난다,
잠시 산길로 올라서면 제비바위 전망대 에 도착한다,
제비바위 전망대 아래로 서해안 고속도로와
서산들과 서해바다가 한눈에들어온다
제비바위 를 뒤로하고 능선길을 올라서면
시원스럽게 뚫린 도로를 내려다보고
연암산 정상에 도착
천장사 에서 약 20분소요,
연암산 무인산불 감시카메라
연암산 정상 에서 오른편으로 가파른 내리막을 내려서서
임도수준의 능선길을 걸어가면
연암산과 삼준산을 잇는 무너미 고개 도착,
이곳에서 잠시 점심식사를 하고 삼준산으로 올라간다,
무너미 고개 에서 한봉우리 에 올라서면
조망이 좋은암릉을 만나고 저멀리 가야산 중계탑이
조망된다,
다시 이어지는 소나무 숲길을 진행
벽장바위를 올라서고,,
나무의자가 놓여있는 갯골재 4거리에 도착
장요리에서 가곡리로넘는 고개마루도 지나게된다
이제 삼준산 정상이 얼마남지 않았네요,
삼준산정상 삼각점과 표지석
조망이 좋은 삼준산정상,
삼준산 정상 에서 내려다 보이는 가곡 저수지,
저수지 방향으로 하산을 합니다,
하산하는 길은 두갈래길,
1,삼준산정상 에서 이정표 대로 70 m 를 되돌아가서
가곡 주차장 방향으로 하산하는 방법
2,삼준산정상 에서 왼쪽방향 (바위암릉) 을 지나서 가곡저수지로 하산방법
우리는 암릉을 지나서 저수지로 하산을 합니다,
삼준산 정상 에서 앞에 보이는 암릉을 지나서
오른쪽능선으로 진행합니다,
한참 내리막을 내려서면 넓은 임도길을 만나고,
임도길을 벗어나면 파란지붕 집앞에 도착,
이쁘게 지은 그림같은 집앞을 지나서,
시멘트 길을 5분여 내려가면,
가곡저수지 끝머리에
삼준산 등산 안내도와,산정가든이
우리가 타고온 버스가 보입니다,
대형버스도 이곳까지 들어 올수가 있습니다,
'충청남북도 (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아산 도고산 09년 11월 19일산행 (0) | 2009.11.19 |
---|---|
충남서산 황금산 해안절벽 트래킹(2) (0) | 2009.11.13 |
대둔산 (충남) 09년 09월 16일산행 (0) | 2009.09.17 |
[스크랩] 충남금산 닭이봉,ㅡ철마산 09년 09월06일산행 (0) | 2009.09.10 |
[스크랩] 충북단양 홀통골산 09년 08월 21일산행 (0) | 2009.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