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효령면 고곡리1448번지-임도길 따라-주차장 공터-
임도끝-남북통일 기도장-장운봉(285.4m)-경주이씨묘-월리봉왕복-
경주이씨묘-임도따라서-원점 (약1.8km 50분)
김명근님.뫼들님.송교수님.본인


장운봉-월리봉 주차장
군위군 효령면 고곡리1448번지



장운봉 정상까지 거의 임도길로 따라 올라 갑니다


1주차장
여기까지 차량이 올라올수 있을것 같네요
근데 사유지로 바깥주차장에 세워놓고 오는게
마음이 편할것 같습니다

지하수 이용시설
더 이상은 차량이 올라갈수 없습니다



가파른 오르막길

제2주차장

길고긴 임도길이 끝나고
걷기좋은 임도길이 장운봉 정상까지 이어집니다

간이화장실

오지송

남문장

남북통일 기도장

장운봉 (285.4m) 정상모습



장운봉(285.4m) 정상모습

장운봉 정상에서 월리봉산길은 가파르게 내려섭니다

경주이씨.달성서씨 묘를 만납니다
이곳에서 월리봉을 왕복다녀온후 하산 지점입니다


진달래가 피기 시작합니다

월리봉 산신

월리봉 신위

월리봉(235m) 정상 표시기들

월리봉 정상을 다녀온후 갈림길 지점 입니다





주차장에 도착해 차량을 회수해서
경북대 자연사박물관으로 이동합니다
경북대 자연사박물관
군위군 효령면 장군리 옛 장군초등학교 폐교 자리에 만든
경북대 자연사박물관이 새로운 자연생태
환경체험 교육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04년 5월초 문을 연 자연사박물관은 살아 있는
어류와 박제된 동물, 지질암석과 공룡화석, 야생동물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채 유치원·초등생을 비롯한
학생들과 일반인들의 관심에 힘입어 7년여만에
10만명(유·무료 포함)의 방문객을 돌파했다.
초창기에는 대구·경북지역이 주류를 이뤘지만 갈수록 대전과
충청, 경남권의 방문객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평일에는
유치원, 초등학교의 과학교실을 운영하는 학원들이
단체로 방문하고, 주말에는 가족 단위가 대부분이다

국립공원공단 팔공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와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은 20일 지역생태관광 저변 확대 및
자연 보전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자연사박물관은 폐교 부지 1천915평과 건평 302평
(1층 100평, 2층 100평, 수장고외 102평)을 박물관으로 조성했다

방문객들은 자연생태 환경을 직접 체험해 보거나
곤충관과 멸종관에서 이미 멸종됐거나 사라져가는
다양한 동식물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은 교실을 꾸며 만든 전시공간 1층에는 400년된
거북과 세계의 조개표본, 국내 암석표본, 나무화석 표본 등을
전시한 지질암석관이 자리해 있다

특히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공룡알 화석(한반도에
공룡이 살았다는 증거물 제1호), 국내 최대 크기 경린어류 화석,
국내 최다 국내산 중생대 어류화석, 지역에서 발견된 중요한
공룡발자국 화석의 진품, 희귀 동물 표본인 토종늑대,
따오기 등이 전시돼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또 티라노사우르스 및 다양한 공룡모형과 전국에서 채집한
공룡 발자국 진품, 공룡 알, 조류발자국 화석
진품 등을 전시한 공룡화석관이 있다

또한 펭귄, 멧돼지 가족, 반달가슴곰, 두루미 등 다양한
야생조류와 동물 박제 표본을 전시한 야생동물관, 식물과 농작물
, 원예작물의 표본 및 생체표본과 사진 그리고 관련
영상자료를 전시한 생명자원관이 있다






2층에는 왕쇠똥구리 및 장수풍뎅이를 포함한 국내의 나비
나방, 잠자리 등을 종별로 분류한 다양한 곤충표본과
외국의 아름다운 곤충 표본을 전시한 곤충관이 눈길을 끈다.
또 멸종관에는 고래 골격표본, 늑대등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표본 120여점이 전시돼 있다







또한 특별전시실에는 대형 포유류와 파충류, 동물화석,
어린이들을 위한 전세계 각종 인형을 전시해 발길을 붙잡는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수집품 특별 전시회가 자주 열리고 있으며
가끔 자연과 관련된 시낭송회, 소음악회, 자연미술전이 열린다





자연사박물관의 소장 자료는 현재 약 6만3천점이 넘는다.
주로 경북대에서 연구활동을 하다 은퇴한 교수들이
무료 기증한 값진 자료들이다.
이밖에 대학측 실험실과 자료실에 수십년간 보관돼 있던
표본과 관련문헌 자료 등도 상당수 있다


전시면적 200평 남짓한 이 박물관에는 방대한 자료가 소장돼 있다.
내용과 질적인 면에서는 국내 어느 자연사박물관 못지않은
귀중한 토종 표본을 많이 가지고 있다. 1970년대 이후
한반도에서 사라진 따오기와 토종늑대는 이곳 표본을
통해서만 실물을 확인할 수 있다
'대구근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성 달창저수지(벚꽃) 25년 04월03일 (0) | 2025.04.03 |
---|---|
군위 효령 삼정산(190m)-가미산(202m) 25년 03월26일 산행 (0) | 2025.03.26 |
대구 옺골마을-도동측백나무숲 25년 03월 25일 (0) | 2025.03.25 |
달성군 화원읍 남평문씨본리세거지 & 마비정 벽화마을 탐방-인흥서원 25년 03월 18일 (0) | 2025.03.18 |
고령 은행나무숲 24년 11월 23일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