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평사-팔각정–정상–삼거리-골프장도로건너–327.1m봉–삼거리갈림길–
송림길–영천사-순평사 (약5.8km 2시간20분)
순창 금산(錦山,433m)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 순화리, 남계리, 가남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호남정맥
순창지맥으로 옥녀가 비단을 짜는 옥녀직금(玉女織錦), 기러기가 순창읍으로
날아가는 형상의 순창의 진산으로 추앙받다 일명 추산으로도 불리며
순창의 북쪽에 솟아 순창읍의 기(氣)를 조성하는 진산이다. 산줄기는
백두대간 장수 영취산에서 갈라진 금남호남정맥이 장안산, 팔공산, 마이산,
부귀산을 지나 진안과 완주 경계인 주화산에서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으로
두 갈래를 친다. 호남정맥은 남으로 뻗어가며 경각산, 오봉산, 내장산,
백암산, 용추봉, 추월산, 강천산까지 뻗어온다. 이곳에서 호남정맥과 헤어져
서쪽 왕자봉에서 무이산 쪽으로 가지를 친 순창의 북쪽 산줄기에 원통산과
금산을 솟구쳤다. 금산의 물줄기는 모두 섬진강에 합수된다. 금산은
풍수지리상 옥녀가 비단을 짜는 옥녀직금(玉女織金) 형상 이라서
금산(錦山)이라 했다는 설과 홍성문대사가 지은 회문산가에 순창읍에
기러기가 내려앉는 형상의 새금(禽)을 쓰는 금산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순평사 금동여래좌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165호
순창의 순평사(淳平寺) 대웅전에 모셔진 높이 1.04m의 불상이다. 원래는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었는데, 담양으로 옮겨져 개인이 보관하다가
다시 순평사(淳平寺)로 옮겨 왔다. 얼굴과 가슴에 부분적으로 금칠이
벗겨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얼굴 표정은
근엄한 편이며 귓볼이 목 중간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양 어깨에 걸친
두꺼운 옷에는 탄력이 줄어든 u자형 옷주름이 표현되었고, 속옷의
띠매듭은 X자를 이루고 있다. 양 손 모두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잡은 모습이다. 불상 안에서 여러 가지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나 이는
복장유물은 1946년 병술(丙戌)년에 다시 넣은 것으로서 묘법연화경 7권
, 석고불상 2구, 은제장신구, 발원문이 쓰여진 번(幡), 1936년 병자(丙子)년에
비단에 쓴 원문(願文) 및 보협다라니, 복장상자 등이 있다. 원래의 복장유물은
없어진 것 같다. 전체적으로 고려시대 양식에 속하지만 평면적인 조각수법과
형식화된 띠 매듭표현 등으로 볼 때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대모암 (183.4m) 둘레길
대모암 입구-대모암 둘레길 등산로-대모산성-대모암 정상-대모암 -
대모암 둘레길-대모암 입구 (약2km 40분)
대모암은 순창군 순창읍 백산리 31번지 대모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다
'전라남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주 월현대산-남산-봉학산-북단산-큰봉-고척등-시루봉-식산1-식산2-뒷매(봉황산)-큰산-처녀봉 21년 04월 14일 산행 (0) | 2021.04.14 |
---|---|
익산 우제봉(161.2m)-시대산(229.1m) 21년 04월 05일 산행 (0) | 2021.04.05 |
담양 남산(233.1m)-메타프로방스-메타세콰이어숲길-관방제림 21년 03월 24일 (0) | 2021.03.24 |
순창 장덕산(297.5m)-건지산(411.9m) 21년 03월 17일 산행 (0) | 2021.03.17 |
순창 성주봉 (533m) 21년 03월 06일 산행 (0) | 202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