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북도

군위 성대산 (354.6m)-오가지산 (333m)-선방산 (436.9m)-꿀밤산 (249.9m)-버리산 (224.9m) 18년 02월 11일 산행

by 산이조치요 2018. 2. 11.

김수환 추기경생가-성대산-오가지산-임도-선방산-지보사-꿀밤산-

미주고개-버리산 왕복-김수환 추기경생가 (원점 14.53km 5시간10분)

서울도요새 아우랑



선방산

경북 군위군 군위읍에서 동북쪽에 있는 437m의 자그마한 산으로

 경북 군위군청을 둘러싸고 있는 산으로 군위인의 정기가 서린 산이며,

 그리 높지 않은 산이 하나 솟아 있다. 그 모습이 마치 배를 띄운 것

 같다고 해서 선방산(船放山)이라고 불린다. 이 산에 얽힌 전설이

 하나 있다. 옛날 오늘의 선방산 꼭대기에는 배를 띄우고 놀 만큼

 큰 못이 있었다. 우리나라에 왔던 당나라 장수들이 여기에서

 뱃놀이를 즐기고는 서로들 바위를 던져 못을 메워버렸다.

지보사

전경신라 문무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오랜 고찰이다.

지보사는 신라 문무왕 13(673)에 창건되었다고 전할 뿐 그 이후

 근대까지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한 가지 추측컨대, 현재 절에

 보관되어 있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 사이에 작성된 갖가지

 기문(記文)지보사’ ‘지보암이라는 절이름이 뒤섞여 쓰이는

 점으로 미루어 예전에도 규모가 그리 큰 절은 아니었던 듯하다.


산행들머리 (김수환 추기경 생가)

경북 군위군 군위읍 용대리 238-7


김수환 추기경 생가 주차장에서 군위읍 방향으로 2차선

도로를 따라서 약100m 정도 진행하다가


오른편 지보사 방향으로 들어갑니다


상곡교 다리를 건너서


왼편 입산통제소 안내판이 있는곳으로



들머리 모습


시멘트 농로길 따라서


성불사 갈림길도 지나고


하곡1길 26-40 농가 맞은편 임도길로 들어갑니다


포장길 따라 한참걸어가면


첫번째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왼쪽 방향으로


과수원 지나 임도길 따라


영천이씨묘역을 지나고


갈림길에서 직진


잠시뒤 만나는 갈림길에서 또직진 방향으로

오른쪽 산길 은 성대산 정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오가지산 으로 가는길입니다


바위전망대에 올라선후


잠시뒤 삼각점이 있는 성대산 (354.6m) 정상도착


판독불명인 성대산 정상 삼각점 확인


서래야 박건석님의 성대산 정상 코팅지


맞은편 소나무숲길을 통과후 임도길을 조금 진행하다가


오른편 샛길로 오가지산을 찾아 갑니다


희미한 능선길 가다가


안부에 내려선다음 직진해서 오가지산을 다녀온후에

왼쪽  계곡길로 내려가야 합니다


오가지산 오름길


간벌작업으로 인해 나무잔가지들이 진행을 더디게 합니다


선답자 분들의 표시기가 많이 걸려있는 오가지산 (333m) 정상모습


부로 되돌아 나와서 희미한 오른쪽으로 약 50m 정도 내려가면


전면에 선방산이 올려다 보이는 임도길에 내려선다


넓은 임도길 따

오늘산행은처음부터 끝까지 임도로 걷는시간이 반이 넘는것같다..


선방산이 올려다보이는 임도길 따라 계속


임도가 마주치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임도건너 직진 산길로 올라간다

지금부터 걷는 길은 선암지맥길이다


직진 선방산 오름길


넝쿨지대를 통과

여름철이면 진행하기가 힘든산행이 될것 같다


바위구간을 통과 완만한 오르막길


선방산 정상 오르기전 다시한번 넝쿨지대를 통과


넓은 헬기장의 선방산 (436.9m) 정상모습


선암지맥길을 이어가는 선답자분들의 표시기

바람이부는 장소를 피해 간단하게 빵으로 간식후


선암지맥길을 버리고 오른편 지보사 방향으로 진행


경주손씨 묘지를 지나서


잠시 낙엽이 미끄러운 가파른 내리막길


전봇대가 서있는 안부에 내려선다음

오른편 지보사 방향으로 약 200m 정도 내려서면


천년고찰 지보사 뒤편으로 내려서고


지보사는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오랜 고찰이다.

지보사 경내를 한바퀴 둘러본다음


지보사 삼층석탑 (보물제 682호)


지보사를 빠져나와서 다음산행지인 꿀밤산을 오르기위해서

2차선도로를 따라 내려간다


2차선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서


잠시뒤 올라야할 꿀밤산이 건너편에 올려다보인다


삼거리 도로에 내려선후 꿀밤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왼편으로 진행하다가

오른쪽 시멘트길로 진행해야하는데

빙돌아 오기싫어서 바로직진 개울을 지나서 진행


그림과같이 개울을 건너서 잠시 산길을 올라서면


빙돌아서 올라오는 포장길과 합류 포장길을 올라간다


과수원옆을 지나고


산길을 오르다 왼편임도에서 올라오는 임도길을 만나

왼쪽으로 빙돌아서 능선에 올라선다음

오른편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아무런 특징이 없는

 꿀밤산 (249.9m) 정상도착


꿀밤산 (249.9m ) 정상 코팅지


맞은편 소나무 숲길을 따라서


성산이씨묘를 지나고


미주고개 안부에 내려선다음


왼쪽 가파른 내리막길  이어지고


묘지3기가 있는 임도에 내려선후

오른편 묘지길 따라 내려가면


농가한채를 지나


태극기가 걸려있는 927번지방도로에 내려섭니다


오늘산행의 마지막인 버리산을 향하여 도로건너 직진


임도길을 따라 오른쪽 수로위로 건너가야하는데 ㅠㅠ


그림과 같이 앞으로 조금더 진행한후


수로를 건너


포장길 농로따라서


갈림길 오른쪽으로


다시만나는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축사 (우사) 를 지나서


가파르게 임도길을 올라 가다가 능선에 올라서기전

그림과같이 왼편으로 들어갔다가

버리산 정상을 찍고 오른쪽으로 한바퀴 돌고나오면 됩니다


버리산 (224.9m)  정상모습


오래전 다녀간 산여울 (명근형님 ) 표시기 옆에 산이조치요

표시기를 하나 걸어두고


능선길을 조금 걸어가면


나무의자 쉼터와 조성이 잘된 가족묘지앞에서


오른편 포장임도길을 걸어서 내려갑니다


삼거리 갈림길에서 왼쪽 광현3리마을 방향으로


광현마을 입구로 들어가서 오른편으로 돌아나오면


광현동 정미소 옆을 지나서


광현3리 마을 표지석이 있는 927번 지방도로 나온후


광현3리 버스 정류소앞을 지나서


927번지방도를 약 10분 정도 걸어가면


목여 민속촌 앞을 지나고


김수환 추기경 생가 주차장에서 산행을마무리

오늘일정을 마칩니다


김수환추기경 생가 입구 용대리 마을 표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