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북도

영천 포은 정몽주 단심로 트레킹 16년 07월 29일 산행

by 산이조치요 2016. 7. 29.

임고서원~기룡지맥~일성부원군묘삼거리에서왕복~기룡지맥분기점~성황당고개

    ~산불감시초소(정자전망대)~조옹대~임고서원

(약 8km 천천히 놀며쉬며 밥먹고 3시40분)

 




영천 포은단심로는 포은 정몽주 선생 고향에서

관광특구로 지정된 곳입니다.

고려 충절 3인

포은 정몽주...영천

목은 이색...영덕

야은 길재...구미 인데요

특히 영천은 이곳을 야심차게 관광 특구로 만들어서

모형 선죽교를 비롯한 많은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경북 영천 임고면 농협 하나로 마트앞

맞은편 임고서원앞에 주차


임고파출소 뒤편 포은 단심로 안내도가 있다

나무 계단길을 올라간다


포은 단심로 트레킹 들머리

나무 계단길을올라서면

잠시뒤에 임고 서원이 내려다 보이고


다시 침목계단을 올라서면


능선삼거리 이정표를 만난다

이곳에서 왼쪽 전망대 20m 다녀온다


전망대 조망이 별로다


잠시뒤 임고서원에서 올라오는 삼거리 갈림길을 지나


부드러운 숲길이 이어 진다


오늘산행은 국제신문에서 안내를 한다

표시기가 촘촘히 걸려있다


과수원앞 갈림길을 지나서 능선길을 따른다


송전탑을 지나고


넓은 산길은 좁아진다


첫번재 일성부원군 묘소 갈림길에서

매호마을 .조옹대 방향으로 그냥 직진한다  

참고로 국제신문코스는 이곳에서 오른쪽부원군 묘소로 진행한것 같다


지금까지 와는 달리 산길이 조금씩 거칠어 지기 시작한다


오늘트레킹내내 임고 새마을 협의회 에서 걸어둔 표시기를 따라 간다


능선길 따라 가면


기룡지맥 능선에 올라선후

오른편 지맥길을 따른다


조성이 잘된 묘지 한곳을 지나서


삼거리 갈림길에서 선답자 들의 표시기가 걸려있는

오른쪽산길로 들어 간다


능선길 쭈~~~욱


이곳 삼거리 갈림길에서 일성부원군 묘소를 왕복 15분도 다녀 온후에

조옹대 방향으로 진행한다


소나무 숲길을 따르다가

잠시 내려서면



넓게자리한 포은정몽주의 선친이신 일성부원군묘지를

돌아보고 되돌아 올라간다


일성부원군 묘소


삼거리로 되돌아 올라와서

조옹대 방향으로 숲길을 따라 가면


기룡지맥길 삼거리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단심로 트레킹길을 따라 간다


잠시뒤  의자 두개가 놓여 있는 쉼터 에서

간단하게 중식 해결하고 한참휴식을 취한후


걷기좋은 소나무 숲길이 이어 진다



아작골 삼거리 갈림길에서 임고서원 방향으로



성황당 고개 안부에 내려선후


한차례 오르막길

왼쪽 표시기가 걸려있는 방향으로


녹색 그물망 옆으로 산길이 이어 진다



산불감시초소와 정자가 있는 전망대에 올라선다


자하천과 임고초교 모습이 내려다 보이고


산길을 걸어 가면


송전탑 아래를 지나서


임고초교가 코앞에 내려다 보이는 전망대에 도착



단심로 하산길 마지막 정자


침목계단길 내려선후


잠시 능선길 따라 가면


오른편으로 임고서원이 내려다 보이고

나무 테크 길을 따라 조옹대에 올라 선다


 포은선생이 낚시를 즐겼다하여 부르는정각 조옹대,  무괴정이라 현판이 걸려있다  


임고서원으로 내려 선다


시간관계상  임고서원을 대강 둘러보고

임고서원

조선중기 1553년에 창건된 서원. 경상북도기념물 제62호. 경북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소재

.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의 덕행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설립하여 위패를 모셨다.

1643년(인조 21)에 장현광(張顯光)과 1787년(정조 11)에 황보 인(皇甫仁)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71년(고종 8)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철되었으며, 1919년 존영각(尊影閣)을 건립하여

 정몽주의 영정을 모시고 향사를 지내왔다.

1965년에 복원되어 위패를 모셨으며, 1980년 정부의 보조로 현재의 위치에

 이건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祠宇)·존영각·강당·포사(庖舍)·유사실(有司室) 등이 있다

. 사우인 문충사에는 정몽주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존영각에는 영정이 소장되어 있다.

강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유사실은 유사가 집무를 보는 곳이고, 포사는

향사 때 제수(祭需)를 마련하여 두는 곳이며, 고사는 고직(庫直)이 거처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2월 중정(中丁 : 두 번째 丁日)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 제품은 4변(籩) 4두(豆)이다. 유물로는 정몽주의 영정 3폭과 《포은문집 圃隱文集》

 목판 113판, 《지봉유설 芝峰類說》 목판 71판, 《포은집》·《어사성리군서 御賜性理群書》

 11권 외에 200여권의 서적이 소장되어 있다.

이 서원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원내의 은행나무는

 경상북도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어 있다. 재산으로는

 전답 1만여평, 임야 10정보 등이 있다.


모형으로 만들어진 선죽교도 건너보고


가을이면 조금더 여유있게 걸을수 있는 포은 단심로 트레킹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