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삼사-천추대-선유봉-푯대산정상-행곡령-작약봉-흥림산정상-
황용리마을회관 (5시간)
작약산(芍藥山)
영양군을 대표하는 산이라면 단연 일월산(1,219m)이다. 더불어 일월산 하면 영양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산지가 발달한 영양 땅에서는 일월산만큼 높지는 않지만 700~800m대의 산이 많다.
그 가운데서도 영양읍을 굽어보며 솟은 작약봉(726m)은 북쪽의 흥림산(766.7m)을 지나
일월산의 맥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영양군의 진산을
작약산으로 명기하고 있고 진산은 고을이나 마을 뒤편에 위치해 그곳에
기운을 전하거나 보전해 주는 산이다.
일월산이 영양의 조산이라면 작약봉은 영양의 주산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가뭄이 심할 때에는 관민들이 모두 모여 이 산에 올라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지리정보원 발행 지형도에 작약봉으로 표기된 이 산은 작약산으로도 불린다.
이 산의 지형이 작약반개형(작약 꽃이 반쯤 핀 형국)으로 풍수지리적 명당이라는 데서 유래했다.
또 산봉우리가 함지박을 엎어놓은 모양이기에 함박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산 남서쪽의
함박산이라는 산촌과도 연관이 있다.
또 산의 형태가 탕건을 닮았다 하여 탕건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한박산이나 대박산이라는 이견도 있다.
한박산의 '한'은 크다, 높다는 의미를 지닌 우리말로 한티재, 한아름,
한껏 등과 같은 용례라는 것이다.
그래서 대박산은 한박산, 즉 큰 박처럼 생긴 산을 한자명으로 적은 것에 불과하며,
함박산은 한박산으로 발음하기 어려움에 따라 변화된 것이라는 얘기다.
여기에다 현재 지형도상 작약봉으로 표기된 산은 실제 한박산이고,
탕건봉(탄감봉이라고도 하며 해발 512m)이 작약산이다
영양읍 외곽에 있는 대한불교 천태종 일월산 월삼사앞이
푯대산-작약산-흥림산 종주산행 들머리 입니다
월삼사 맞은편에 있는 푯대산 등산안내도
옆으로 들어가면
팔수골 정상 3.5 km 이정표를 만나고
여기에서 팔수골 정상은 푯대산 정상을 일컷는 말인것 같습니다
산행초입부터 가파른 오르막을 잠시 올라서면
좌측아래로 영양읍이 내려다 보이고
팔수골 정상 3km 방향으로
완만한 오름짓을 하면
산행시작 20 여분 만에 등산로 옆에 요산영천(樂山靈泉)이라 쓰인 오래된 입석이 있다.
권영성(1881~1923)의 후손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인데 영양읍 서부동에서
태어난 권씨는 행상으로 큰 돈을 번 다음 지역의 복지후생에 노력한 사람이다.
가파른 오르막을 올라서면
t
산행시작 35분만에 밋밋한 선유봉(505m) 정상도착
잠시후 안부에 내려서고
팔수골 1.8km 방향으로
완만한 오르막을 올라섯다가
능선길을 한참 이어가다.한차례 올라서면
푯대산(579.6m) 정상도착
잠시 능선길 따라가다가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한동안 능선길이 이어지고
통정대부 영일정씨 묘를 지나서
영양읍과 청기면 경계인 행곡령 쉼터에 내려선다
이곳에서 후미를 기다릴겸 중식해결을 하고
포장도로를 따라 좌측으로(청기면) 조금이동하면
곡각지점 조금 못미쳐 오른편 좁은 포장길로 올라선다
한동안 포장길을 따라 10분정도 올라가면
임도삼거리 갈림길앞에 도착하고
오른편 동부리 (골뱅이골) 로
몇발짝 올라가면
왼쪽 묘역 방향 으로 해서 능선으로 올라붙는다
묘역뒤로난 산길로 들어가면
산불초소와 무인산불 카메라 앞을 지나서 20m 정도 가다가
오른쪽 희미한 산길로 들어선다
산길로 들어서면 뚜렷한 능선길이 한동안 이어지다가
작약산으로의 등로는 우측으로 휘어진다
한차례 올라서면
삼각정 봉우리를 지나고
희미한 삼거리 봉우리 에 올라선다
이곳에서 작약산 정상은 직진방향으로 5분쯤 나아가면 정상석을 만날수 있고
흥림산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왼쪽 (북쪽) 방향으로 내려서야 한다
작약산 정상모습
작약산(726m) 정상석
작약산 정상에서 다시 흥림산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희미한 삼거리 로
되돌아 와서 북쪽방향으로 흥림산을 이어간다
흥림산으로 내려서는 등로는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서인지
희미한 족적도 없고 낙엽이 쌓여 미끄러워 조심스럽다
건너편 우뚝솟은 흥림산 정상을 바라보면서,내려선다
한동안 내려서다가 오른쪽 흥림산으로 이어지는 등로로 바꾸어타고
흥림산 까지 완만한 오르막이 시작된다
흥림산 직전 만나는 삼거리 봉우리
이꼿에서 왼쪽 방향으로 약 5분정도 진행하면 산불초소가 자리하고 있는
흥림산 정상을 만날수 있다
흥림산 으로 가는 능선길
흥림산(766.7m) 대삼각점과,산불초소
흥림산 정상에서 삼거리 봉우리로 되돌아 내려와서
동쪽방향인 황용리마을 방향으로 하산길을 찾아보았지만
수풀에 가려 등로를 찾지못하고
올라왔던길을 다시 되돌아 한참 내려가보니
저아래로 마을이 보이는 적당한 지점에서 하산길을 서두른다
이곳 안부 지점에서 왼쪽 황용리 마을 방향으로
초입엔 잡목과 가시덤풀로 등로를 찾을수가 없지만
조금 치고 내려서면 희미한 족적을 만날수있고
잘록한 안부에서 약 25분만에 계곡으로 내려선다
묵밭을 지나서
마지막 농가인 축사를 만나고
포장길 따라 약 5분이면
커다른 노거수 나무가 서있는 도로에 내려서면서
흥림산 산행을 마친다
산행날머리 황용리 마을 회관
산이 조치요 카페에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밑에 그림을 클릭 하시면 바로이동 합니다.
'경상남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통영 연대도 지겟길 (연대봉 220m) 13년 07월 12일산행 (0) | 2013.07.13 |
---|---|
경남 산청 구곡산 (961m) 13년 06월28일 산행 (0) | 2013.06.28 |
경북 의성 매봉산(319.7m)-생해봉(431m)-건마산(395.8m)-큰등산(345m)-대산지산(336m) 13년05월17일산행 (0) | 2013.05.17 |
경남 밀양 계령산(389.7m) 나물산행 13년 05월16일산행 (0) | 2013.05.16 |
경북 김천 염속봉산(679m)-연봉산(705m) 나물산행 13년05월13일산행 (0) | 201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