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스크랩] 경기남양주,주금산 09년 09월 01일산행

by 산이조치요 2009. 9. 10.

 

 몽골문화촌,ㅡ시루봉,ㅡ독바위,ㅡ주금산,ㅡ1코스.ㅡ비금계곡,ㅡ주차장 (원점산행 4시간)

 

 

 

 

 

산행출발

경기 남양주시 몽골문화촌 주차장 입니다

 

 

몽골문화촌 공연장 오른편 정자가 보이는 시멘트 길로 올라갑니다,

 

 

시멘트 길을 따라 10여분 뒤에 산마루 가든 앞을 지납니다,, 

 

 

계속 시멘트 길을 걷다 계류 를 건너서면  

 

 

합수점 삼거리에 도착합니다,(입구에서 25분소요)

이곳에서 시루봉 을 오르기 위해서는 

조금만 되돌아나와서 왼편 언덕길로 올라갑니다, 

 

 

시루봉 오름길에는 이렇게 밧줄이 계속 설치 되어 있습니다, 

 

 

산행시작 약 1시간만에 넓은공터의 시루봉 에 도착합니다, 

 

 

 시루봉 에서 바라본 천마산,철마산 능선,,

 

 

시루봉 에서 주금산 방향으로 걸어가면 

수림이 우거진 숲속길을 한참이나 걷게되구요,, 

 

 

잠시뒤에 우뚝솟은 송전탑을 만납니다,

송전탑에서 독바위 까지는 완만한 오름길을 올라서야 합니다

 

 

독바위 오르기전의 넓은 헬기장.

헬기장 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good,,, 

 

 

헬기장 에서 바라본 독바위 와 팔각정자,,

 

 

독바위 삼거리에 세워진 이정표,,

이곳에서 독바위는 왼편 (서쪽)  으로 잠시다녀 옵니다,(능골방향)

 

 

독바위 오름길에 철사다리

 

 

독바위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산세를 바라보면서

불암산, 수락산, 사패산, 도봉산, 북한산으로 이어진 불수사도북 능선을 찾아본다.

독바위에서 내려와 다시 삼거리 로 되돌아 나와서 

 

 

비금리로 내려가는 이정표 를 만납니다,

이곳에서 주금산정상 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와야 합니다,

(0,48km  왕복 20여분소요)

 

 

주금산 정상 에 도착합니다,(813,6m )

 

鑄錦山은 북의 운악산과 남의 천마산 중간지점에 제일 높게 솟아있는 산으로서,

 포천시 내촌면과 가평군 상면의 경계를 이룬다.

비단산으로도 불리며, 주위에는 서리, 천마, 철마, 축령산 등

명산이 호위하듯 둘러서 있다

 정상 부근의 기암과 수려한 비금(秘琴)계곡이 어우러져

 마치 비단결 같은 산세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이 산의 서북쪽 산자락에 베어스타운 스키장이 자리잡고 있다. 

주금산정상은 나무에 가려 조망이 없습니다,

주금산정상 에서 다시 비금리 하산길  삼거리 까지 되돌아 나와서

비금리 방향으로 하산을 합니다,(4,45km )

 

 

주능선에서 비금계곡을 향한 본격적인 내림길을 시작하여 

계곡물이 흐르기 시작하는 비금계곡  합수곡에 도착.

 秘琴계곡이란 이름은 그 옛날 선비들이 놀러왔다가

 계곡 안에 거문고를 감춰놓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계곡물이 소리내어 흐르고 있는 비금계곡에서 손발을 담그고 휴식을 취한다.

 

 

비금리(몽골문화촌) 주차장에 도착합니다, 

 

경기 남양주 주금산 (813,6 m )

 

주금산은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남양주시 수동면,

가평군 상면 등에 남북으로 뻗은 능선 상에 솟아있는 산이다.

 쉽게 말하면 베어스타운 스키장 뒤편에 길게 늘어서 있는

산릉의 최고봉이 주금산이다.

 주금산은 한북정맥상의 운악산과 수원산(水源山·709.7m) 능선

중간에서 남쪽으로 가지를 친 천마지맥 상에 있으며

 개주산 옆을 지나는 능선이 주금산(813.6m)으로 이어진다.

현지주민들은 독바위 산이라고 한다.

 내촌면 쪽에서 보면 정상 주능선에 큰 독을 엎어 놓은 형상의

암봉이 우뚝 솟아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주금산 남쪽으로 푹 패인 골짜기가 비금계곡이다.

 비금계곡은 울창한 숲속에 큰 바위와 암반이 이어지는 계류에

 소가 연달아 나오는 호젓한 바위계곡이 길게 펼쳐지는 곳으로

 옛날부터 이름 있는 계곡으로 알려져 왔으며

 지금도 오염되지 않은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옛날에 선비들이 산에 놀러왔다가 거문고를 감춰놓았다 해서

 비금계곡으로 불린다. 비금계곡 하류 쪽에는 수동국민관광지가 조성되어 있다.

 

 

출처 : 산이조치요~
글쓴이 : 대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