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녀온날: 24년 08월 20일(화)
탐방순서: 달성삼가헌(배롱나무)-하빈/육신사(베롱나무)-
하목정(베롱나무)-성주/성밖숲(맥문동)
달성/삼가헌(하엽정)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동4길 15
달성 삼가헌은 사육신의 한 분인 충정공 박팽년의 자손들이 정착하여
살고 있는 박씨마을 묘골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여 자리 잡은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넓은 터에 대문간채, 사랑채, 안채, 별당,
연못이 배치되어 있다. 박팽년의 11대 손인 성수가 1769년에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신의 호를 현판으로 걸어 삼가헌이라
이름 지었으며 그 뒤 그의 아들 광석이 1783년 이웃하고 있는
묘골에서 현재 위치로 분가한 다음 1826년 초가를 헐고
안채와 사랑채를 지었다
하엽정
육신사 주차장
육신사 (대구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
육신사는 조선 세조 때 사육신으로 일컫는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 사당을 지을 때는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모셔 제사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사육신이 사당 문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로 나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숙종 17년인 1691년 낙빈사를 지어 이들을 봉안하고 제사 지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낙빈사가 서원과 함께 철거되었으며
1924년 낙빈서원이 재건되면서 위패를 다시 봉안하게 되었다
1974년부터 1975년 사이 [충효 위인 유적정화사업]에 의해
현재의 위치에 육신사로 이름을 붙여 재건하였고, 2003년부터
2011년에 걸쳐 충절문을 세우고 건물을 복원하였다. 이후 향사는
육신사에서 지내고 있다. 현재 육신사에는 숭정당, 숭절당, 사랑채, 외삼문,
내삼문 등의 건물과 보물 제544호로 지정된 달성 태고정과
태고정 안채 등이 남아 있다. 달성 태고정은 1479년 박일산이 건립한 것으로
종택에 딸린 별당 건물이다. 이 밖에 사육신 육각비를 비롯하여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대통령, 박준규 국회의장의 기념 비석, 헌성 방명록 비,
제13·14·15대 국회 의장 송산 박준규 생가 터 표석 등이 세워져 있다.
묘골 아름 마을 입구에는 사육신 기념관이 있다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대통령, 박준규 국회의장의 기념 비석
태고정
하목정
하목정
하목정
보물 제2053호로 지정된 ‘달성 하목정’은 낙포 이종문(1566~1638)이
1604년경에 건립한 정자형 별당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청과
정면 1칸, 측면 4칸의 방들이 서로 붙어서 전체적으로 ‘丁’자형의
독특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커다란 사랑대청을 가지면서도
사랑윗방 앞에 개인적인 공간인 누마루를 설치, 조선 중·후기
별당건축의 한 예를 보여준다
이 건물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이종문(李宗文)이 1604년에
건립한 것으로 원래는 제택(第宅)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인조(仁祖)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 집에 머문적이 있었는데 그 때 이종문의 장자(長子)인
이지영(李之英)에게 하목정이란 당호를 써 주었다고 한다
성주 경산리 성밖숲은 성주 읍성(邑城) 서문 밖에 만들어진 숲으로
조선 중기 서문 밖의 어린 아이들이 이유없이 죽자 풍수지리설을 따라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현재 성밖 숲에는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왕버들 59그루가 자라고 있다
성밖숲은 왕버들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수지리, 역사, 문화,
신앙에 따라 만들어진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향토성, 민속성, 역사성 등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성주 경산리 성밖숲 (星州 京山里 城밖숲) >
'대구근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하중도 대구 정원 박람회 24년 10월 08일 (6) | 2024.10.08 |
---|---|
대구달성 화원유원지(화원동산)24년 10월 4일 (3) | 2024.10.05 |
대구근교 연꽃단지 24년 07월 23일 (0) | 2024.07.23 |
대구근교 베롱나무/ 신숭겸유적지-서계서원-옻골마을 24년 07월 23일 (0) | 2024.07.23 |
송해공원 (꽃구경) 둘러보기 24년 06월 24일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