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평택 부락산(149.4m)-덕암산(164m)-부엉바위(168.3m)-팔용산(138m)-세종/금강보행교 (이응다리) 24년 06월06일 산행

by 산이조치요 2024. 6. 6.

다녀온날: 24년 06월06일(목) 현충일 

                    부락산 공영주차장- 부락정- 팔각정(쌍령지맥 접속)- 부락산 정상-

                      작은흔치고개- 큰흔치고개(삼남로 확장 공사로 재시공 중인 생태이동

                      통로 우회)- 산불감시초소봉(162.9m) 우회- 던지고개- 덕암산 정상-

                      부엉바위 이정목 삼거리- 부엉바위봉 정상 왕복- 쌍령지맥 이탈

                      갈림길-  도로 접속- 태경산업 삼거리- 왕복 700 정도 헛발품 후 회귀-

                      번창자동차공업사 입구- 한옥마을식당 진입로 접속- 전원주택부지

                      조성지(도일동 19-72)- 다음, 네이버, 오룩스맵 상 팔룡산 정상(138.0m)-

                   네이버, 영진지도상 팔용산 정상(△122.2m)- 도일동 177- 6(중고

                      컨테이너 수리판매업체)- 팔룡당저수지(12.07Km)-

-차량이동-세종/금강보행교-이응다리 

 

함께산행한 산여울 (김명근님) 개념도 입니다

 

부락산 공용주차장 

 

등산로 입구

 

부락정

 

부락산(149.4m) 정상

 

부락산 정상 산불감시초소

 

 

 

세종/금강보행교(이응다리)

약3.30km 1시15분 

 

세종시의 랜드마크인 금강보행교는 국내 최초로

복층 일면강관트러스교로 지어졌으며,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도시미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금강보행교는 환상의 시간

여행이라는 설계 개념으로 교량상부(폭 12m)는 보행편의를 위한

휴게 및 편의시설과 다양한 이벤트, 놀이 체험시설이 가득한

녹지 보행공간으로 조성했고, 교량하부(폭 7m)에는 쾌적한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보행자 안전을 보장하고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도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교량은 O자형의 독특한 형태로 "이응다리"라고도 불리우는데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1446년을 기념하여 둘레를

1446m로 정하였다 복층으로 구성되어 상부층은 보행전용, 하부층은

자전거 전용으로 이용되며  환상형 도시구조를 형상화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세종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전망대

 

총연장 1,651m, 폭 12~30m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1446년을 기념하여 둘레를 1446m로 정했다.)

공사기간 : 2018.7.27~2021. 12. 3

시행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시공사 : 롯데건걸, KCC건설, 소노인터내셔널

 

세종특별자치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