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항주차장-바닷길-삼거리-누에섬-삼거리-바위2개-탄도항주차장
(도상거리 : 약 4km)
대부도 관광안내소(방아머리 공원) → 동서가든(캠핑장) → 북망산(해발 100m) →
구봉약수터 → 개미허리 → 낙조 전망대 → 구봉선돌 → 종현어촌체험마을 →
대부도 해솔길은 총 7개 코스 745km로 해안선을 따라 대부도 전체를 둘러볼 수 있는
트래킹 코스입니다
자연 그대로 형성된 오솔길과 해안길을 따라 자연친화적으로 조성된 해솔길은 코스별로
소나무숲길, 염전길, 석양길, 바닷길, 갯벌길, 포도밭길, 시골길 등 다양한 풍경을 만날수
있는 걷기 좋은길 입니다
○ 대부도 유래
삼국시대에는 마한, 한주(통일 신라), 남양도호부(고려), 남양군(조선시대),
부천군, 옹진군(해방이후)으로 되었다가 1994년 12월 26일 안산시에 편입 되었다.
면적은 40.8KM이며 행정 구역은 안산시 대부북동, 대부동동, 대부남동, 선감동,
풍도 등 5개동으로 되어 있다. 조선 인조때에는 방어사가 주재 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인조 임금이 이괄의 난을 피해 이곳에 잠시 계실 때 설치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대부도란 이름은 남양쪽에서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마치 큰 언덕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고려시대 문헌에 대부도와 선감도라는 지명이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대부도는 대부도(大部島), 대부도(大府島)등 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대부도가 주변 섬들과 비교해서 매우 큰 섬이고
지형이 황금산을 중심으로 평탄한 구릉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대부도(大府島)란 표기는 고려시대에만 사용되었으나 대부도(大府島)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계속 사용되었으며 성종 18년(1487년)부터는
대부도(大阜島)와 함께 혼용되다가 조선 말기부터는 사라지고 대부도(大阜島)만이 사용되었다.
한편 대부도의 모양이 낙지같다 하여 낙지섬,
대나무가 많다 하여 죽호(竹湖), 모양이 연꽃이 물에 떠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연화부수지(蓮花浮水地)라고도 불렸다고 전해진다.
『대부도향리지』-안산문화원,안산향토역사연구소- 참고
산이 조치요 카페에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밑에 그림을 클릭 하시면 바로이동 합니다.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평/ 유명산 (862m) 14년 06월 22일 산행 (0) | 2014.06.23 |
---|---|
인천 팔미도 &차이나타운 관광 14년 06월 07일 (0) | 2014.06.08 |
안양 /꽃메산-와룡산-석수산(177m) 14년 06월 05일 산행 (0) | 2014.06.08 |
안산시/ 풍도 (후망산176m) 14년 04월 11일 (0) | 2014.04.11 |
인천 무의도(호룡곡산244m) -소무의도-실미도 14년 02월 23일산행 (0) | 2014.02.23 |